정치외교/동아시아정치경제론 (6) 썸네일형 리스트형 동아시아정치경제론 (9) 동아시아 발전국가의 성장과 위기 지금까지 동아시아 국가들의 성장에 초점.성장에 대한 위기에 대해서. - 동아시아 국가들의 성장과 위기 동아시아 호랑이들의 경제가 전반적으로 수출 성장률이 크게 둔화, 경상수지 적자가 큰 폭으로 확대.동아시아 외환위기: 경제적 어려움 + 정체적 혼란 때문에 투기자들의 공격 대상. 무너지는 아시아 4마리 용. - 동아시아 발전을 설명하는 여러 시각들: 외부 환경론적 시각 1) 동아시아 성장이 가능했던 당시 국제정치경제 환경의 조건 중, 미소의 냉전체제가 부여한 우호적인 통상환경.미국이라는 거대 수출시장의 일방적 제공이 동아시아 국가의 수출주도 산업화의 성공을 가능하게 했다는 점이 중요하다. + 당시 일본의 경제성장 또한 미국에게 패망했음에도 불구하고 미소 냉전체제 자유주의 체제의 동아시아 기수 필요.. 동아시아정치경제론 (8) 아세안의 발전과정 - 아시안 10국에 대하여. 주로 살펴볼 국가: 싱가폴, 필리핀, 베트남(사회주의 국가). 당시는 중국이 청나라였다. 화도라고 부르는 청나라 일꾼들이 저렴하면서 부지런했다. 동남아시아 사람들은 기후의 영향 때문에 게을렀다. 영국에서 넘어온 사람들은 청나라 사람들을 활용했고, 이것이 훗날 화교로 불렸다. 그렇기 때문에 싱가포르에서 화교의 영향은 굉장히 크다. 말레시이사의 경우에도 화교의 영향이 크다.대만, 타이완 등에서 아편전쟁으로 인해 넘어온 인구도 많다. 베트남과 캄보디아의 경우, 또한 필리핀 또한, 인도네시아 등 식민지배의 영향을 받은 국가들.1945년 이후에 많이 독립하게 된다. 2차 세계대전 이후 '민족 자결주의, 민족주의'의 개념이 확산되면서 많이 독립한다. 우리나라와 역사적으로 많은 유사성.. 동아시아정치경제론 (5) 일본의 발전과정 지난주차 한국의 발전과정 이어서. - 동아시아 발전국가모델의 핵심적인 특징1) 수출지향적 산업화 전략2) 경공업 위주의 노동집약적 산업 -> 중화학공업 위주의 자본집약적 사업으로 순차적으로 산업구조 고도화3) 산업화 전략이 국가의 경제개발계획에 의해 체계적으로 지도 - 발전국가 형성의 역사 구조적 조건경제성장에 중요한 것은 '국가 자율성'. 반대로 성장해야 자율성을 확보할 수 있는 상호관계.주권이라는 것이 밑받침되어야 함.국가, 자본, 노동관계에서 국가의 압도적인 우위와 자율성 - 국부의 증진이라는 민족주의적 국가발전목표의 설정국가라는 것은 자유주의와 중상주의 중에서 후자에 가깝다. 현실주의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국가. 국가발전목표의 설정을 굉장히 중요하게 여긴다. 민족주의적 성향.. 동아시아정치경제론 (4) 한국의 발전과정 - 지난 회차 수업 복습 인도와 중국의 비중이 컸으나 산업혁명으로 인해 유럽에 포커스국가의 영토에서의 생산을 기준으로 수치화 한 것을 GDP, 국적에 따라서 수치화 한 것을 ?신 중심 사회가 무너지면서 주권국가와 국민국가 출현 - 베스트팔렌 조약이 중요, 30년 전쟁 이후에 구교와 신교의 전쟁을 끝내기 위해 맺은 조약주권체는 최상위성과 독립성을 보유해야 한다. 주권은 독립성을 확보하기 위해 유럽의 정치지도자들이 만들어낸 역사적 창조물행복추구권, 생명권, 자유권을 가지고 있다: 정부의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 - 를 명시하고 있는 것이 독립선언서(미국의, 영국으로부터 독립하며)게티즈버그에서 링컨이 한 노예해방 연설 신대륙 발견 -> 아메리카 대륙 개척해상 무역 - 거대 자본 출현각국의.. 동아시아정치경제론 (3) 경제발전과 정치경제 지난주 수업: 동아시아 발전국가모델에 대한 이론적 논의 - 현실주의: 무정부 상태. 중심 행위자는 국가. 국가는 힘을 추구. 국가는 합리적 행위자. 국제관계를 제로섬이라고 생각. 인간 본성의 부정적 측면에 초점을 맞춤. - 중상주의: 현실주의 기반으로 발전. 근대 민족국가의 건설+산업체계의 확입을 위해 채택된 국가 주도의 정책. - 경제 민족주의: 산업혁명에 더불어. 국가가 개인보다 앞선다. - 신현실주의: 3개의 국제기구. 미국 패권국. 위의 기구는 자유무역을 촉진한다. - 패권안정이론 (지난주에 다뤄야 했는데 다뤄지지 않았음)하나는 공공재적, 다른 하나는 신현실주의적. 전자는 패권이 공공재를 제공해준다고 주장. 패권국의 특징이 압도적인 능력(군사력과 경제력) 보유 -> 자.. 동아시아정치경제론 (2) 동아시아 발전국가모델에 대한 이론적 논의 - 현실주의의 이론에 대하여 국제 체제는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패권국을 요구한다국가는 유일하고 단일 행위자이다국가는 생존을 위해서 - 안보를 위하여 힘을 추구한다합리적인 행위자이다국제관계를 제로섬이라고 생각한다인간 본성의 부정적 측면에 초점을 맞춘다 무정부 상태단일한 행위자생존을 추구합리적 행위자 경제보다 정치를 우선시하며, 정치 권력 분포의 변화가 국제경제관계의 본질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로 생각한다. 패권국은 세계시장을 개방 및 폐쇄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한다. 제로섬 게임이기 때문에 상대적 우위를 중요시한다. - 고전적 중상주의 15세기부터 18세기까지 미국이 굉장히 작았다. 영국에서 배척받은 이들이 대항해시대에 대륙을 건너 자리잡은 식민국가였다. .. 이전 1 다음